EROSION OF URBAN BOUNDARIES : Structural Changes in Urban Space
페이지 정보
작성자 남서울대학교_강민우 조수연 댓글 0건 조회 137회 작성일 25-06-19 20:29본문
EROSION OF URBAN BOUNDARIES : Structural Changes in Urban Space
- 남서울대학교
팀원 : 강민우
천안역을 중심으로 양극화된 도시의 문제점을 완화하고자
현재, 세대와 기능이 공존하는 다층적 도시 구조를 담아
침식의 개념을 확장해 하나의 흐름, 중심 도시 공간을
구성하기 위해 천안역 중심의 대지로 선정했다.
현재, 세대와 기능이 공존하는 다층적 도시 구조를 담아
침식의 개념을 확장해 하나의 흐름, 중심 도시 공간을
구성하기 위해 천안역 중심의 대지로 선정했다.
- 남서울향대학교
팀원 : 조수연
과거에 골목길이 지나다니던 이 곳은 현재까지도 그 때의 단절로 인해서 당시에 골목길을 기준으로 두 지역 간 발전상황 및 속도에 큰 차이가 존재한다. 우리는 이 단절된 두 지역의 발전속도를 맞추고자 비교적 낙후된 지역인 대지로 선정했다.
개별작품(건축물)
강민우
개별작품 01 - (제목기입)
∎ 복합환승센터 : 지상 14층/ 최고높이 60m/ 환승 센터, 주거 공간, 커뮤니티 공간, 문화&여가 공간 등등
개별작품(건축물)
조수연
개별작품 02 - (복합 프로그램 센터)
∎ 복합 프로그램 센터 : 지상 8층/ 최고높이 32m/ 치유 정원, 노인 창업센터, 공유 카페, 공유 주방, 하늘 정원, 운동 치료시설